본문 바로가기

주식11

주식 종목의 계급장 [투자주의, 투자경고, 투자위험] 종목은 무엇인가? 주식 종목의 계급장 [투자주의, 투자경고, 투자위험] 종목은 무엇인가? 흔히들, 주식 종목에 대해 계급장 달았다~ 라고 표현하는,투자주의, 투자경고, 투자위헙 종목의 지정요건과 어떤 제약사항이 있는지를 찾아보았다. 일단 이와같은 내용을 알고있으면 좋은 점이 무엇이냐면, 첫째로, 이미 급등한 종목임을 잘 인지하고, 웬만하면 쳐다보지 않는 것둘째로, 이와 같은 지정일에 맞춰 세력이 조정을 준다던지, 개미들이 한꺼번에 턴 다든지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매도 시점에 참고를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지정 단계는,투자 주의 -> 투자 경고 -> 투자 위험이다. 가면갈수록 위험경고가 강해지는 것이다. 1. 투자 주의 종목 ( [주] 라고 딱지가 붙어있음 ) - 뜻 : 뭐 투기성이 있거나, 불공정거래의 개연성이 있다.. 2020. 4. 4.
세력들이 자전 거래는 왜 하는 걸까? 세력들이 자전 거래는 왜 하는 걸까?  주식 하는 사람이면, 자전거래(cross trading) 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물론 주식판에서만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고 부동산에서도 일어난 현상이다. 자전거래란? 동일한 투자자가, 종목, 수량, 가격, 거래시점을 미리 정해놓고 약속처럼 매수 주문을 냄과 동시에 매도주문으로 물량을 받는 거래를 이야기한다.여기서 동일한 투자자라함은 주로 같은 주체의 세력이 여러개의 계좌를 가지고, 물건을 사고 팔고 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즉 자기가 매도 올려놓고 다시 같은 수량 매수하고 ... 그런 행위라고 보면된다.  그러면 자전 거래는 왜 하는가? (주식용어로 자전거 탄다고 이야기 하기도하는데..) 첫번째, 가격을 올리며 행하는 자전거래가장 큰 이유는 거래량을 늘려.. 2020. 3. 28.
사이드카 발동! 사이드카 란 무엇일까? (Sidecar - Feat.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발동! 사이드카 란 무엇일까? (Sidecar) 어제 미국증시가 또 시퍼렇게 멍들더니, 결국 오늘 코스피, 코스닥이 시작하면서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을 했다.. 사이드카란? (sidecar) 파생상품 시장에서 선물 가격상황이 급변할 때, 프로그램 매매의 호가 효력을 일시적으로 제한, 프로그램 매매가 현물 주식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는 제도이다. 프로그램매매는 일반적으로 개미들이 하는 주식 거래는 아니고, 세력이나 기관들이 하는 컴퓨터 자동 매매를 뜻한다. 한국 증시에서는 선물가격이 전일종가 대비 5% 이상(코스닥은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될 때 발동하며, 일단 발동되면 발동시부터 주식시장 프로그램 매매호가의 효력이 5분간 정지된다. 그러나 5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매.. 2020. 3. 23.
한미 통화 스와프와 주식 주가와의 관계 (?) 통화 스와프와 주식 주가와의 관계 (?) 코로나의 여파로, 요 근래 개미들은 긴 어둠의 터널을 지나고 있다. 코로나 테마주 제외 거의 모든 종목이 가파르게 땅굴을 파고 있는 요즘이 아닌가 싶다. 코스피가 미친듯이 1400선까지 떨어지다가, 600억달러 규모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소식이 들리면서, 지난 금요일 단비같은 반등(+7.44%) 을 했다. 요 근래 코스피 지수를 보면, 마치 코스닥 개잡주 처럼 움직인다 싶을 정도의 등락폭이다. 지난 금요일 급반등을 보며 많은 개미들이, 이것이 한국 증시 추세전환의 신호탄인가? 지금 주가가 매우 떨어졌으니, 예전 IMF의 학습효과를 노리면....! 지금들어간다면??? 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나 또한 그런 작디 작은 샐러리 일개미 중 한마리일 뿐.. 2020. 3. 22.
주식을 고른다는 것 주식을 고른다는 것 '가치투자'는 근본적으로 맞는 말이다. 하지만 1년이 걸릴지, 2년이 걸릴지 모르는 단점이 있다. 종잣돈이 작은 개인은 시간이 부족하다. 최대한 짧은 시간 내 수익을 봐야할 필요가 있으며, 적어도 '수 개월내' 오를만한 종목을 찾아야 한다. 이 부분을 위해 '기술적 투자' 가 필요하다. 근 몇년간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종목의 재무분석도 해보고, 차트 공부도 하고, 수급공부도 하고 하면서 깨달은 점은, 가치투자 관점에서, - 재무 분석을 통해 근본적으로 너무 이상한 종목들은 배제 - 가치투자 관점에서, 올라갈 모멘텀(재료, 성장성) 이 조금이라도 있는 종목 두 가지 항목을 기반으로, 결국 아래와 같은 기술적 분석 항목을 만족하는 종목을 찾는 것이, 정답이 아닌가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2018. 8. 10.